반응형

Server 30

파티션 분할 하기

1. 임시파일 생성2. 포맷3. 마운트4. 파일복사5. 마운트 해제 1. 임시파일 생성 - 여기서는 임시 파일을 HDD라고 가정하고 생성한다 2. 포맷 - mkfs.ext4 명령어로 hdd1 파일의 파일시스템을 생성한다 3. 마운트 - HDD1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hdd1 파일을 마운트한다 4. 파일 복사 - /bin 디렉토리의 파일들을 HDD1 디렉토리에 복사하고 용량을 다시 확인한다 5. 마운트 해제 - 연결된 마운트를 해제한다- 마운트를 해제할때는 반드시 장치를 사용하면 안된다> 사용한다는 의미 1 : 장치가 연결된 디렉토리에 들어간경우> 사용한다는 의미 2 : 장치가 연결된 디렉토리의 실행파일을 실행시킨 경우

Server/Linux 2018.07.05

리눅스 기본 설명

리눅스 특징 1. 권한을 갖는다. - 소유권, 허가권 2. 다중사용자 환경을 지원한다. - 멀티 유저 모드 및 멀티 테스킹 지원 3. 대/소문자를 구분한다. 4. 확장자는 무관하고 파일명의 일부로 사용한다. - 윈도우 확장자 개념과는 다름. 리눅스 프롬프트의 구조 1. 프롬프트란? - 명령어를 입력받아 실행될수 있는 상태 2. 리눅스 프롬프트 - 관리자 : [root@localhost ~]# - 사용자 : [user@localhost ~]$ - [, ] : 프롬프트의 구분기호 - root, user : 서버에 로그인한 계정명 - @ : 계정명과 서버 이름의 구분기호 - localhost : 서버의 이름(HostNAME) - ~ : 경로의 마지막 경로명을 출력 - #, $ : 계정상태 출력(# 관리자, $..

Server/Linux 2018.07.05

쉘스크립트

쉘 프로그래밍 : 쉘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래밍 환경을 통한 프로그래밍 쉘 스크립트 : 쉘 프로그래밍을 통해서 생성한 파일 (스크립트 파일) 리눅스 실행 파일의 두 가지 형식1. 바이너리 파일 : 컴파일해서 나온 실행파일 ex) ls , mv , ps2. 쉘 스크립트 파일 : 텍스트 형태의 파일이지만 실행명령어들을 모아놓은 배치파일 ex) /etc/init.d/network , /etc/init.d/sshd 쉘 스크립트가 필요한 이유 - 서버 관리하기 위해 반드시 필수이며 많은 프로그램들이 쉘 스크립트 파일로 작성되어 있다. 쉘 스크립트 생성하기 - 파일 생성 후 실행권한으로 변경한다 - 꼭 실행권한이 있어야 되는건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실행권한이 있어야 한다 - 파일의 확장자가 꼭 sh 로 끝나지 않아도 되..

Server/Linux 2018.07.04

패키지 관리

운영체제를 설치할 때 초기에 설치되는 기본프로그램 외 관리자나 사용자가 추가로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필요가 있음필요에 따라 소프트웨어 설치 관리 및 제거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로그램 및 설치 방법이 다양하다 RedHat 계열 : RedHat , CentOS , Fedorasource code compile : ~~.tar.gz , ~~.tar.bz2 , ~~.tar,xzRPM(RedHat Package Manager) : ~~.rpmyum : ~~.rpm Debian 계열 : Debian , Ubuntu , Kali , Mintsource code compile :dpkg :apt-get: 1. source code complie- rpm으로 제공되지 않는 프로그램..

Server/Linux 2018.07.04

프로세스

프로세스란 - 프로세스는 실행중인 프로그램이다- 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에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.- 프로그램은 실행시에 프로세스를 어떻게 만들지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이다 운영체제의 실행파일 형식- Unix , Linux : ELF 포맷을 사용한다.- Windows : PE 포맷을 사용한다PE 포맷 : 마이크로소프트의 Window 3.1 부터 지원되는 실행 파일의 형식을 말함 유닉스 COFF를 기반으로 나왔으며 , PE 포맷을 사용하는 파일의 확장자는 cpl , exe , dll , ocx , vxd , sys , scr , drv 가있다악성코드 중에는 cpl , scr 형태의 확장자로 배포되므로 사용자가 주의해야 한다. 프로세스의 상태 신규 : 프로세스가 생성된 상태준비 : 프로세스가..

Server/Linux 2018.07.04

사용자 그룹

/etc/passwd : 사용자에 대한 정보 /etc/group : 그룹에 대한 정보/etc/shadow : 사용자에 대한 비밀번호 저장/etc/gshadow : 그룹의 비밀번호 저장/home/ : $HOME : 일반 사용자가 있는 위치/var/spool/mail : 사용자의 이메일이 있는 위치 관리자 UID : 0일반유저 UID : 500 부터 시작 useradd : 사용자 추가userdel : 사용자 삭제groupadd : 그룹 추가groupdel : 그룹 삭제passwd : 비밀번호 변경passwd -l : 사용자 비밀번호 LOCK 설정passwd -u : 사용자 비밀번호 UNLOCK 설정 /etc/passwd 필드 ( 7개의 필드로 구성 : 을 기준으로 필드를 구분)ex) #head -1 /etc..

Server/Linux 2018.07.03

디스크 추가 및 관리

fdisk , parted : HDD 파티션 분할 명령어mkfs.ext4 : 파일 시스템 생성 명령어df : 디스크 사용량 확인 명령어di - i : inode 사용량 확인fsck : 파일 시스템 체크 fdisk 단축키m : 도움말n : 파티션 생성d : 파티션 삭제p : 파티션 정보 출력q : 저장하지 않고 종료w : 저장하고 종룡 리눅스에서 인식하는 HDD 종류 /dev/ ? d ? ? l l l l l +--- HDD 의 파티션 순서 (1,2,3...) l +---- HDD 순서 +----- HDD 종류 ( S : SCSI -> SAS , SATA , SSD , h : IDE , EIDE) /dev/sda : 첫 번째 HDD /dev/sda1 : 첫 번째 HDD 첫 번째 파티션/dev/sda2 : ..

Server/Linux 2018.07.03

리눅스 기본설명 & 명령어

# 리눅스의 특징 1. 권한을 갖는다 . - (소유권 , 허가권) 2. 다중 사용자 환경을 지원한다. - 멀티유저 모드 및 멀티 테스킹 지원 3. 대/소문자를 구분한다. 4. 확장자는 무관하고 파일명의 일부로 사용한다. - 윈도우 확장자 개념과는 다르다 # 리눅스 프롬프트의 구조 1. 프롬프트란 - 명령어를 입력받아 실행될수 있는 상태 2. 리눅스 프롬프트 - 관리자 : [root@localhost ~]# - 사용자 : [user@localhost ~]$ - [, ] : 프롬프트의 구분 기호 - @ : 계정명과 서버 이름의 구분기호 - localhost : 서버의 이름(HostNAME) - ~ : 경로의 마지막 경로명을 출력 - #,$ : 계정상태 출력 (# 관리자, $ 유저) # 명령어 [-옵션][서브..

Server/Linux 2018.06.19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