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Server 30

디스크 관리

디스크 관리 1. 파일 시스템 - 저장 장치에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체계- 각 운영체제별 고유의 파일시스템이 존재 Windows = NTFS , FAT16/32/64, ......Linux = ext2/3/4, ..... +-----------------------------+ l 부 l 슈 l I l D l l 트 l 퍼 l | l a l l 블 l 블 l N l t l l 럭 l 럭 l O l a l l l l D l l l l l E l l l l l list l l +-----------------------------+ 2. 파티션 - 연속된 저장 공간을 하나 이상의 연속되고 독립된 영역으로 나누어서 사용 할 수 있도록 정의한 규약 1) 주 파티션 ( Primary )- 부팅이 가능한 파티션- ..

Server/Linux 2018.07.16

MariaDB ( SQL )

- MariaDB (mysql) 1. 설치# yum -y install mariadb-server.x86_64 2. 설정파일# vi /etc/my.cnf# /etc/my.cnf.d/* symbolic-links=0 아래에skip-character-set-client-handshake >> MariaDB [(korea)] 로 변경 2. Table1) Table 확인- 전체 테이블 확인> show tables; - 특정 테이블 확인> desc ; 2) Table 생성> create table (column , .....);- 자료형- int : 정수형- float : 실수형- char(num) : 고정 사이즈 , 문자- varchar(num) : 가변사이즈 , 문자 - text : 제한없음 , 문자 ex) ..

Server/Linux 2018.07.11

sudo 설정 & service

[실습] - useradd command 를 linux 사용자가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path = /usr/sbin/useradd# setfacl -m u:linux:x /usr/sbin/useradd- 권한을 주어도 실행만될뿐 유저가 생성되지 않는다. ex) useradd: /etc/passwd을(를) 잠글 수 없습니다. 나중에 다시 시도하십시오. Command # which -sudo- $ sudo 1. 설정- /etc/sudoers # visudo 위치는 상관없음 $ sudo useradd [user_name] $ sudo userdel -r [user_name] -Service- 1. Web service1) 설치- httpd.x86_64 2) 설정 파일- /etc/httpd/conf/httpd...

Server/Linux 2018.07.10

네트워크설정 & ACL 권한

1. Network 설정 - vmware > Edit > Vituar Network Editor > Subnet IP : 100.100.100.0 > OK # vi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ns33 ----- 수정 ------BOOTPROTO="static"------추가-------IPADDR=100.100.100.100NETMASK=255.255.255.0GATEWAY=100.100.100.2DNS1 =168.126.63.1DNS2=168.126.63.2 ONBOOT="YES" ACL 설정을 하면 소유그룹의 권한자리의 mask권한 표시 # getfacl /acl/passwd 3. MASK 권한 - 실제 권한 MASK 변경# setfacl -m m:: [fil..

Server/Linux 2018.07.09

파일의 용량/개수의 제한을 체크

1. 디스크 파일 생성 2. 디스크 파일 포맷3. 디렉토리 마운트4. 파일 개수 테스트5. 파일 용량 테스트 1. 디스크 파일 생성 - HDD를 달지 않고 임시로 dd를 이용해서 100M 크기의 파일을 생성 2. 디스크 파일 포맷 - 디스크 파일을 ext4 파일시스템으로 포맷한다 3. 디렉토리 마운트- disk1 디렉토리에 disk1.dd 파일을 마운트 시킨다 4. 파일 개수 테스트- 현재 가지고 있는 파일의 최대 개수를 넘겨서 disk.dd를 100 % 만들어본다 5. 파일 용량 테스트 - df -i 로 확인해 보면 100%

Server/Linux 2018.07.06

신규 HDD 추가하기

HDD 추가 순서 1. HDD 설치2. 디스크 확인3. 파티션 분할4. 포맷5. 마운트6. 리부팅7. 영구적 마운트 설정8. 부팅 후 마운트 확인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1. HDD 설치- HDD 를 추가하기 위해서 시스템을 종료한다 - HDD 를 장착하고 부팅한다> HDD : HDD1 , HDD2 , HDD3 Add 클릭하시면 HDD를 추가하실수 있습니다. 2. 디스크 확인 - 부팅이 완료되면 로그인하고 df 로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한다 3. 파티션 분할 주 파티션 생성 하기

Server/Linux 2018.07.06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