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
네트워크의 기본 개념

T_Y 2018. 10. 4. 21:24
반응형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Network & Protocol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1. Network

- Net 과 Work 의 합성어

  > Net은 그물을 의미 Work 는 일하는 것으로 그물처럼 연결되어 동작하는 것


2. Protocol

- 컴퓨터 상호간 혹은 컴퓨터와 단말간에서 통신을 할 때에 필요한 통신규약

- 규약은 서로 이해할 수 있는 의미 내용을 표현하는 정보의 포맷구성 , 포맷의 송수신방법 등의 규정

- 컴퓨터 상호간의 통신을 확실하고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이들의 프로토콜이 완전히 규정되어 표준화되어야 함


3. Network and Protocol


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L A N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4. LAN = Local Area Network

- 제한된 거리에 있는 다수의 독립된 컴퓨터 기기들이 상호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이    터 통신 시스템


Topology

- 네트워크에서 케이블로 연결된 컴퓨터들의 전체적인 모양

- 물리적인 구조 : 미디어로 연결된 호스트 들의 실제적인 연결 모양

- 논리적인 구조 : 미디어를 호스트들이 어떤 방식으로 접속하느냐에 따른 네트워크 모양



물리적인 연결 형태


버스형 : 버스라는 공통 배선에 각 노드가 연결된 형태

 

> 장점 - 노드의 추가 및 삭제가 용이 특정 노드의 장애가 다른 노드에 영향을 주지않

> 단점 - 공통 배선의 대역폭을 공유하기 때문에 노드 수가 증가하면 배선의 트래픽 이                증가하여 네트워크 성능이 저하    


링형 : 각 노드의 좌우의 인접한 노드와 연결되어 원형을 이루고 있는 형태


> 장점 - 단 방향 통신으로 신호 증폭이 가능하여 거리 제약이 적

> 단점 - 노드의 추가 삭제가 용이하지 않다


성형 : 각 노드는 중앙에 위치한 주 노드를 통하여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할 수 있는 형태


> 장점 - 장애 발견이 쉽고 , 관리가 용이

> 단점 - 주 노드에 장애가 발생하면 전테 네트워크 사용이 불가능


망형 : 모든 노드가 서로 일대일로 연결된 그물망 형태로 다수의 노드 쌍이 동시에 통신할 수          있다 완전연결형과 부분연결형이 있다 완전연결형 네트워크는 스위칭 또는 브로드 케            스팅이 필요 없으나 노드가 추가 될 때마다 연결 수가 급격하게 증가한다

  노드 n개에 필요한 연결 수는 n(n-1)/2 


> 장점 - 특정 노드의 장애가 다른 노드에 영향을 주지 않고 회선장애에 유연한 대처 가능

> 단점 - 회선 구축 비용이 많이 들며 새로운 노드 추가 시 비용부담이 발생


5. 토큰 링

- 링 형태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토큰 패싱 방식을 사용하여 매체를 접근하는 방식

- 토큰 이라는 짧은 길이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자격을 한정하여 스테이션은

  자신의 차례가 되어서야 데이터를 전송


6. 무선 랜

IEEE 802.11a

- 5GHz의 UNLL 대역에서 동작하는 고속 물리 계층에 대해 규정

- IEEE 802.11a는 확산 대역 기술 대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을 사용

> 50m 이내에서의 6~54Mbps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
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


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 MAN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1. MAN

- 대도시에 산재해 있는 가입자망 연결

- 백본망과 가입자 망 접속 제공

- LAN 과 LAN을 연결

- 백본 네트워크로 가는 길목 역할


1) MAN의 역할

- 가입자망을 백본망으로 연결해줌

- Metro Core 구간의 트래픽은 가입자에서 가입자로 가입자에서 백본으로 구분됨

- 모든 트래픽이 백본을 거치는 것을 방지
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

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WAN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프레임 릴레이

- 통계적 다중화 방식의 효율성과 고속 전송 특성이 결합된 프로토콜

- 기존의 패킷 교환 개념을 유지하면서 고속의 신뢰성있는 전송로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

  제공하는 것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


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OSI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OSI 참조 모델


-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의 약자로 개방형 시스템의 상호 접속을 위한 참    조 모델

- 서로 다른 컴퓨터나 정보통신 시스템들 간의 연결

- 통신 기능을 7개의 계층으로 분류하고 각 계층의 기능을 정의


- 시스템 간의 통신을 위한 표준 제공

- 시스템 간의 통신을 방해하는 기술적인 문제들을 제거

- 단일 시스템의 내부 동작을 기술해야 하는 노력을 제거

- 시스템 간의 정보 교환을 하기 위한 상호 접속점을 정의


OSI 7계층


1계층

- 물리 계층

- 기계적 , 전기적 , 물리적 사양 , 비트 단위 신호 전송 방식 규정

- 데이터 단위 : bit

- 주요 프로토콜 : 100Base-TX , V.35 , T1


2계층

- 링크 계층

- 프레임 단위의 신호 전송 방식 규정

- 데이터 단위 : frame

- 주요 프로토콜 : Ethernet , PPP


3계층

- 네트워크 계층

- 장비의 논리적인 주소 지정 , 경로 설정

- 데이터 단위 : Packet

- 주요 프로토콜 : IP , ICMP , ARP


4계층

- 전송 계층

- 종단 프로세스의 데이터 전달 방식 규정

- 데이터 단위 : segment

- 주요 프로토콜 : TCP , UDP


5 계층

- 세션 계층

- 세션의 시작 및 종료 제어

- 데이터 단위 : message 또는 data

- 주요 프로토콜 : NetBIOS , TCP , session setup


6 계층

- 표현 계층

- 데이터의 표현 및 암호화 방식

- 데이터 단위 : message 또는 data

- 주요 프로토콜 : ASCII , MPEG


7 계층

- 응용 계층

- 외부와의 연결이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과 통신 프로그램간의 인터페이스 제공

- 데이터 단위 : message 또는 data

- 주요 프로토콜 : HTTP , FTP , TELNET



통신 방식


- 유니 캐스트

- 1:1 통신 방식

- 현재 네트워크에서 가장 많이 사용

- 프레임의 맥 주소가 자신의 주소가 아니면 랜카드에서 받지 않음


- 브로드 캐스트

- 로컬 랜 상에 붙어 있는 모든 네트워크 장비에게 보내는 통신 : PC의 성능을 저하시킴



- 멀티 캐스트

- 특정 그룹 멤버들에게만 보내는 통신

- 클래스 D의 IP 주소를 사용
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
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TCP / IP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인터네트워킹에 필요한 장비


Repeater

-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케이블에서 신호의 손실인 감쇄 현상이 발생하는데 리피터는 감쇄되는 신

  호를 증폭하고 재생하여 전송


HUB

-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UTP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네트워

  크 장비로 신호를 증폭기능을 하는 리피터의 역할도 포함


Bridge

- OSI의 데이터 링크 하위계층인 MAC에서 동작하며 , 둘 또는 그 이상의 네트워크들을 상호 연결 

  자체 학습 기능을 통하여 불필요한 데이터가 반대편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함


- 브로드캐스트와 멀티캐스트 프레임을 그대로 전송하므로 다른 세그먼트에 불필요한 트래픽을 발

  생시켜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됨


Switch

- 연결된 PC의 수에 상관없이 각각의 회선의 최대 대역폭을 제공하며 가상 LAN을 지원


Router

- IP 주소에 의하여 데이터의 경로를 설정하며 다중 경로일 경우 최적의 경로를 자동으로 설정하여

 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최소화 시킴


- MAC 계층의 브로드캐스트와 멀티캐스트 프레임을 재전송하지 않음


Gateway

- OSI 참조 모델의 모든 계층을 포함하여 동작하는 네트워크 장비로서 두 개의 완전히 다른 네트워

  크 사이의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

반응형